카테고리 없음

전월세 신고제 계도기간 끝! 6월부터 과태료 폭탄?

쓰갱이 둘 2025. 4. 11. 02:12
반응형

전월세 신고제 계도기간 끝! 6월부터 과태료 폭탄?-썸네일
전월세 신고제 계도기간 끝! 6월부터 과태료 폭탄?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계약은 했는데 신고는 안 했다면… 이제는 진짜 얄짤없어요. 전월세 신고제, 솔직히 말해 헷갈리셨죠? 주민센터에 가야 돼? 전입신고랑 뭐가 달라? 신고 안 하면 진짜 과태료 내는 거야?

 

이런 질문들, 아직도 엄청 많더라구요.그런데 이제 계도기간 끝났습니다. 2025년 6월부터 본격적인 단속 들어가요.

 

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주택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집회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홍보문
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전월세 신고제, 이거 뭐길래?

 

간단하게 말하면, ①보증금 6,000만 원 이상 or ②월세 30만 원 초과하는 주택 임대차 계약을 반드시 신고해야 해요.

 

  • 신고 대상: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 신고 장소: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정부24’
  • 신고 시기: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전입신고만 해도 자동으로 되는 줄 아셨죠? 아니에요. 전입신고는 전월세 신고와 다릅니다!

 

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광고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부동산광고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중계인
전월세 신고제 몰랐다간 과태료 100만원?

 

계도기간은 끝났다

 

2021년 6월에 처음 시행된 전월세 신고제, 무려 3년간 ‘계도기간’으로 봐주던 것도 끝났어요.

 

  • 2025년 6월 1일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 임대인 또는 임차인 중 신고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각각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 부과
  • 늦게 신고해도 과태료 30만 원
  • 구두 계약도 신고 대상!
  • 임대인·임차인 양쪽 모두 신고 의무 있음

이쯤 되면… 혹시 나도 신고 안 했는데...? 생각나지 않으세요?

 

 

 

임대차계약서 분실 시 온라인 재발급 방법

임대차계약서를 잃어버리면 정말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이 계약서는 보증금, 임대 기간, 그리고 계약 조건 등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빨리 문제를 해결하는 게 중요

woori.ssugaengi.com

 

 

어디서 신고하나요?

 

정말 간단합니다.

 

오프라인:

 

임대차 계약서를 지참하고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해 전월세 신고 전용 창구에서 접수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①정부24 홈페이지에서는 공공기관 인증서를 통한 전자 신고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계별로 계약 내용 입력, 첨부 서류 업로드, 신고 완료 확인까지 가능하도록 안내되어 있습니다.

 

또한,② 국토교통부 전월세 신고 시스템은 별도로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신고 대상 주택 정보 자동조회, 과태료 대상 여부 확인, 확정일자 자동 처리 내역 등까지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시스템입니다.

 

국토교통부 전월세 신고 시스템 에 접속해 ①로그인 후 ②계약 정보 입력 및 ③계약서 첨부를 통해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카카오, PASS 등)이 필요합니다. 접수 후 신고 완료 여부와 확정일자 부여 현황은 시스템 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꿀팁: 확정일자 자동 처리!

 

확정일자란, 임대차 계약서에 국가가 '이 날짜에 계약이 체결됐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표시입니다. 이는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며, 확정일자가 있어야 전세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우선변제권'이 생깁니다.

 

신고하면 ‘확정일자’도 자동으로 처리돼요. 전세 사기 걱정되는 분들, 이거 꼭 챙기세요. 전입신고 + 확정일자 + 전월세 신고 = 안전한 임차 3종 세트!

 

 

임대차계약서 분실 시 온라인 재발급 방법

임대차계약서를 잃어버리면 정말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이 계약서는 보증금, 임대 기간, 그리고 계약 조건 등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빨리 문제를 해결하는 게 중요

woori.ssugaengi.com

 

내가 대상인지 헷갈린다면?

 

  • 보증금 6,000만 원 초과? → ⭕해당
  • 월세 30만 원 초과? → ⭕ 해당
  • 그 이하인데도 계약서 작성? → ⭕ 해두는 게 좋아요
  • 친인척 간 계약? → ⭕ 형식적 계약도 대상이 될 수 있어요

 

이런 글도 함께 보면 좋아요

 

전월세 신고제 vs 전입신고, 진짜 헷갈려요

 

전월세 신고제 vs 전입신고, 진짜 헷갈려요

전입신고 했으면 된 거 아니에요? → 아닙니다. 이 둘은 완전히 다른 제도입니다. 요즘 부동산 계약하고 나서 이런 말을 많이 들어요. “전입신고 했는데 왜 또 신고하라는 거야?”, “전입신고

nehi.ssugaengi.com

 

전월세 신고하면 확정일자 자동? 진짜임? (예정 글)

 

전월세 신고하면 확정일자 자동? 진짜임?

확정일자 받았다고 생각했는데… 안 돼있다구요? 그거 진짜 전세사기 위험이에요. 요즘은 전세든 월세든 ‘확정일자’는 계약 생명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근데, “전입신고만 하면

grigo.ssugaengi.com

 

마무리하며

 

그동안은 '설마 과태료까지야?' 싶어서 그냥 넘긴 분들도 많았을 거예요. 하지만 이제는 진짜 딱지 끊습니다.특히 임대인 분들, 무심코 넘겼다간 나중에 세금 문제까지 번질 수 있어요. 전월세 신고제는 선택이 아니라 의무입니다. 시간 얼마 안 걸리니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반응형